이야기와 사례 | <사례 15> 사회적인 궁지로부터 벗어나는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이준남 작성일12-12-15 03:46 조회4,407회 댓글0건본문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1, 300-314>
목적 : 가해자의 체면을 세우는 면이 다음의 몇 가지 사항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한 고찰임.
1) 가해자의 동기, 2) 피해자의 신분, 3) 둘 사이의 친분정도, 4) 가해자에 대한 책망에 대한 타당성.
계획 : 96명의 심리학과 학생(남 48명, 여 48명)에게 미리 기록된 시나리오를 읽힘으로 시험했음.
이들은 모두 가해자의 입장에 섰으며, 시나리오의 내용은 모두 4가지의 다른 사건이 기재되어 있음.
이들은 모두 가해자의 입장에 섰으며, 시나리오의 내용은 모두 4가지의 다른 사건이 기재되어 있음.
판정 : 이들에게 세 가지의 동기가 부여된(General Causality Orientation Scale, GCOS) 설문에 대한 답변의 내용을 기초로 해서 가해자의 종류를 그들의 성격에 맞게 부여했음.
세 가지의 동기란, 1) 자동적(본인의 이익에 상관되는 동기임. 예를 든다면, 감정 또는 목적 등) 동기,
2) 외부적인 상황에 따른 동기,
3) 특별한 고의성이 없는 동기.
자동적인 동기는 외부 상황에 따른 동기에 비해서 대인관계에 있어서 대인관계에 큰 관심을 두지 않았음.
세 가지의 동기란, 1) 자동적(본인의 이익에 상관되는 동기임. 예를 든다면, 감정 또는 목적 등) 동기,
2) 외부적인 상황에 따른 동기,
3) 특별한 고의성이 없는 동기.
자동적인 동기는 외부 상황에 따른 동기에 비해서 대인관계에 있어서 대인관계에 큰 관심을 두지 않았음.
결과 : 대체적으로 가해자가 용서를 받은 사실을 알고 난 후에는 무거웠던 기분이 가벼워졌음. 물론 용서를 받은 사실이 없을 때에는 계속해서 무거운 기분을 갖게되었음. 이런 현상은 여자들에게 더욱 뚜렷하게 드러난 것이 특징이었음.
결론 : 가해자의 무거운 기분을 경감시키는 요소는 다음의 몇 가지에 의존한다는 결론이 도입되었음.
1) 가해자의 성별(여자와 자동적인 동기를 갖고있는 사람들은 더 예민했음), 2) 피해자의 신분, 3) 가해자와 피해자 사이의 관계(두 사람의 친교정도), 4) 가해자에 대한 책망여부. 가해자가 많은 책망을 받을만한 사람이었으면, 용서에 대한 전체적인 과정에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주입되었음. 그러나 체면을 세울 정도의 상황일 때는 둘 사이의 우정을 되살리는데 별 어려움이 없었음. 둘 사이가 친했을수록 또는 여자들 사이였을 경우에는 그 동안 어려웠더라도 우정을 되살리는 점이 드러났음.
1) 가해자의 성별(여자와 자동적인 동기를 갖고있는 사람들은 더 예민했음), 2) 피해자의 신분, 3) 가해자와 피해자 사이의 관계(두 사람의 친교정도), 4) 가해자에 대한 책망여부. 가해자가 많은 책망을 받을만한 사람이었으면, 용서에 대한 전체적인 과정에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주입되었음. 그러나 체면을 세울 정도의 상황일 때는 둘 사이의 우정을 되살리는데 별 어려움이 없었음. 둘 사이가 친했을수록 또는 여자들 사이였을 경우에는 그 동안 어려웠더라도 우정을 되살리는 점이 드러났음.
코멘트 : 이 연구조사의 특징은 가해자의 입장에서 고찰된 것이었음.
친밀 정도, 성별 그리고 둘 사이의 역학관계는 그 동안 비교적 연구제목이 아니었던 세 가지의 항목과 방향에 대한 연구결과가 돋보였음. 이로 인하여 앞으로 이 세 가지의 새로운 항목과 방향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을 것으로 예상됨. 또 한가지의 특이한 점으로 드러난 것은 가해자의 입장에서 볼 때 심한 책망을 들으면서 용서를 받는 과정이 앞으로의 둘 사이의 관계 설정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추측이 가능하게 되었음.
친밀 정도, 성별 그리고 둘 사이의 역학관계는 그 동안 비교적 연구제목이 아니었던 세 가지의 항목과 방향에 대한 연구결과가 돋보였음. 이로 인하여 앞으로 이 세 가지의 새로운 항목과 방향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을 것으로 예상됨. 또 한가지의 특이한 점으로 드러난 것은 가해자의 입장에서 볼 때 심한 책망을 들으면서 용서를 받는 과정이 앞으로의 둘 사이의 관계 설정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추측이 가능하게 되었음.
왜냐하면, 이런 과정을 겪으면, 안면과 사회적인 체면유지에 어려움이 올 것이라는 입장 때문이라고 여겨짐. 끝으로 가해자의 자존심이 용서를 받음으로 타격을 받는 경향이 없었고 오히려 마음이 편안하게 되었음. 결론적으로 부정적인 접근보다는 긍정적으로 용서하는 접근이 둘 사이의 관계를 재 설정하는데 도움이 되었음.
추천 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